Edgio Logo

Edgio Blog

OTT 서비스에서 꼭 필요한 스트리밍 기술

OTT와 스트리밍 서비스

OTT 서비스

과거에는 각종 영화, 드라마 또는 여러 TV 프로그램들을 TV로만 볼 수 있었습니다. TV는 원하는 콘텐츠를 보기 위해 정해진 시간에 TV를 틀어야 했고, 정해진 방송 시간이 지나면 다시 보기가 불가능했습니다. 하지만 OTT 서비스가 대중화되면서, 점차 다양한 방송사에서는 다시 보기 서비스를 시작했고 현재는 인터넷을 통하여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들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각종 OTT 업체의 서비스를 토하여 전 세계의 다양한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든 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오늘은 에지오와 함께 OTT와 OTT의 배경이 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OTT와 스트리밍의 이해

OTT란?

OTT란 인터넷을 통하여 영화, 드라마, TV 방송 등의 여러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여러 콘텐츠를 사용자가 원할 때 인터넷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인데요. 대표적인 OTT 업체로는 넷플릭스, 유튜브, 왓챠, 티빙 등이 있습니다.

OTT가 등장한 배경에는 인터넷의 발달, 스마트폰의 보급률 증가 및 성능의 향상 등 각종 콘텐츠 시청 환경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기의 범위가 확대되고 다양한 콘텐츠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크게 성장할 수 있었죠.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면 어디든지, 언제든지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고, 각자의 기호에 맞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나 횟수에 제한이 없고 다양한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스트리밍이란?

스트리밍이란 인터넷에서 동영상이나 음악 등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인터넷에서 데이터가 끊기지 않고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죠. 과거에는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다운로드해야 했지만 스트리밍 서비스는 다운로드가 필요 없습니다.

스트리밍 서비스의 원리는 압축된 데이터가 실행함과 동시에 압축이 풀리면서 일시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실행이 종료되면 사라지는 것입니다. 다운로드는 데이터를 다 내려받은 이후 재생을 할 수 있지만, 스트리밍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다운로드를 받으면서 동시에 재생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트리밍 기술은 OTT 비즈니스의 핵심입니다. 물론 스트리밍 기술을 활용하면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지므로, 영상 시청 뿐만 아니라 게임이나 금융과 같은 각종 웹 서비스에서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스트리밍 서비스 사례

넷플릭스(NETFLIX)

넷플릭스는 전 세계 구독자 가구가 2억 개를 초과할 만큼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으며 전 세계 스트리밍 시장에서 30%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여러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넷플릭스만의 콘텐츠들도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TV를 통해 영상을 볼 때는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볼 수 없다는 것과 많은 광고가 소비자들의 시청 질을 낮춘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넷플릭스는 이 단점을 극복한 광고 없이 원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많은 소비자들이 열광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전 세계에 서버를 보유하고 있어 소비자에게 가장 가까운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스트리밍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회선 상태에 따라 화질을 조정하여 영상을 끊기지 않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O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중 가장 많은 기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PC,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태블릿, 스마트 TV, 각종 셋톱 박스 등 많은 기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스트리밍을 웹 형태로 지원하고 있어 모든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유튜브(Youtube)

유튜브

유튜브는 20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플랫폼입니다. 젊은 연령층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도 유튜브를 사용하는, 영향력이 큰 채널입니다.

유튜브에는 다양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고 매일 여러 개의 콘텐츠가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 콘텐츠들을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시청할 수 있죠.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이 뿐만 아니라 실시간 라이브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라이브 서비스는 인코더를 활용하여 유튜브에서 시청할 수 있는 디지털 형식으로 바꾸어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


스트리밍 서비스의 종류

Progressive Download

유튜브에서도 사용하는 가장 많이 쓰이는 비디오 전송 방식입니다.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파일을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이동시킵니다. 가장 구현하기 쉬운 방식으로써 쉽게 말하면 서버에 비디오를 올려놓으면 사용자가 이 비디오의 URL에 접근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그 부분을 재생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방식은 사용자가 보는 만큼이 아니라 다운로드 된 만큼의 데이터가 소비되기 때문에 인터넷의 속도가 느릴 경우 다운로드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동영상의 재생이 멈추게 됩니다.

RTSP/RTMP Streaming

이 방식은 Progressive Download와 달리 미리 데이터를 다운 받지 않아도 됩니다. 사용자가 동영상을 재생하면 재생하고 있는 비디오 프레임 만을 전송하고 이미 본 데이터는 지워버리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RTSP와 RTMP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RTSP는 스트리밍 서버나 CDN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일반적인 서버에서 많이 지원되지 않고 인터넷 속도가 재생보다 느려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은 통신망이 변경되거나 화면의 크기가 달라져도 정상적으로 영상의 재생이 가능합니다.

Adaptive HTTP Streaming

이 방식은 앞의 두 가지 방식의 장점을 합친 방식입니다.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몇 초 단위의 동영상을 스트리밍하여 나눠진 동영상을 이어 붙여 사용자들에게 제공됩니다. 하지만 정해진 표준화가 없기 때문에 업체 별로 사용 방법이 다르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에지오의 전송 네트워크

스트리밍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 시간에 영상을 선택해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하려면 시간, 공간적인 제약이 컸습니다. 하지만 스트리밍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난 뒤에는 누구나 언제 어디에서든 편하게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트리밍은 실시간으로 여러 명이 함께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명인들은 팬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기도 하며 대기업의 시무식, 종무식 등의 행사도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많은 것이 비대면으로 전환된 상황에서 이러한 특성은 큰 장점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스트리밍 관련 서비스는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대부분의 서비스들이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환될 것이며 그에 따른 필요성도 더욱더 증가할 것입니다. 분야를 막론하고, 오늘날의 비즈니스에서는 자사의 콘텐츠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적 인프라를 갖추어야 합니다.

에지오에서는 글로벌 캐싱 전송 네트워크(CDN)를 통해 스트리밍 기술을 더욱더 극대화하여 전 세계의 사람들에게 빠른 속도로 고품질의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또한 에지오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대규모 사설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300개 이상의 PoP, 200Tbps의 글로벌 용량, 7,000개에 달하는 상호 연결을 자랑합니다. 고품질의 동영상을 세계에 공유하고 싶다면 지금 에지오와 상담해보세요.

PRODUCTS